유통기한 지난 냉동 닭가슴살 먹어도 괜찮을까?

유통기한 지난 냉동 닭가슴살 먹어도 괜찮을까? 많은 분이 몸매 관리나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만큼 식단 또한 건강하고 단백질 위주로 섭취하시는데요, 닭가슴살만 보더라도 너무 맛있는 제품이 많죠.

닭가슴살은 대부분 냉동으로 판매하고 있는데요, 너무 오랜만에 식단을 시작하면서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닭가슴살 유통기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동 닭가슴살 유통기한

생 닭가슴살의 경우 유통기한이 짧고, 보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냉동으로 된 닭가슴살을 주문하여 먹는데요, 워낙 제품이 많기 때문에 유통기한도 제각각입니다.

평균적으로 냉동 닭가슴살 유통기한은 1년 정도로 제조일이 표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략적인 추측만 가능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닭가슴살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은 공장에서 식품을 제조하고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 상품성을 보장하는 기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상품성이 떨어지는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없게 됩니다.

이미 구매한 식품 중에서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즉시 상하는 것은 아닙니다. 냉동 닭가슴살 또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일 뿐이지 상해서 먹지 못하는 상태는 아닙니다.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 가급적 유통기한 이전에 섭취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 23년 이후로는 유통기한이 폐지되고, 소비기한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소비기한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동 닭가슴살도 소비기한을 사용하고 있을까?

소비기한이란 소비자가 먹어도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 기한을 뜻하는데요, 대부분의 식품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부 소비기한을 표기하지 않고 있는 식품으로는 우유가 대표적이며, 그 외에 식품은 소비기한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냉동 닭가슴살 역시 23년 이후에 제조된 제품이라면, 표기된 날짜는 소비기한으로 표기됩니다.

냉동 닭가슴살 소비기한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차이

 

정리

유통기한 지난 냉동 닭가슴살 먹어도 괜찮은지 알아보았는데요, 23년 이후로는 소비자가 먹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 소비기한을 표기하고 있으며, 가급적 기한 이내에 섭취하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만약 기한이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상태가 괜찮다면, 위에 올려드린 링크를 참고하셔서 섭취 유무를 결정하시기를 바랍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약자는 기한이 지난 식품을 드시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